엔가와에서 스이카를: 일본 영화 속에 담긴 일본 집 풍경

WeXpats
2020/08/18

한국에서는 점점 더 찾아보기 힘든 ‘시골 외갓집’ 정서를 일본 영화 속 일본 집들의 곳곳에서는 느낄 때가 있습니다. 일본의 집이 갖는 고유한 정서를 느껴볼 수 있는 영화 속 장면과 함께 일본 집 관련 용어들을 담아봅니다.

<내용 구성>

◆ 영화 <바닷마을 다이어리>, 엔가와(縁側)

◆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다이도코로(台所)

◆ 영화 <인생 후르츠>, 이마(居間)

◆ 영화 <일일시호일>, 도코노마(床の間) 

영화 <바닷마을 다이어리>, 엔가와(縁側)

>>추천 영화: 고레에다 히로카즈(是枝裕和) 감독의 <바닷마을 다이어리(원제: 海街diary)>(2015)

도쿄 근교의 바닷마을, 가마쿠라(鎌倉)에 대한 동경을 심어준 <바닷마을 다이어리>는 원작 만화도 번역되어 인기를 끌었죠. 이 영화 속에는 사계절과 예쁜 네 자매의 이야기가 오래된 일본 집을 배경으로 펼쳐지는데요. 막내 역의 배우 히로스에 스즈가 자전거를 타고 벚꽃 터널을 지나는 봄 장면도 인상적이지만, 이 영화의 백미는 네 자매가 마당을 접하는 좁다란 마루, 엔가와(縁側)에서 보내는 여름 장면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엔가와(縁側)

엔가와(縁側)란, 일본식 집의 거실 끝부분을 마루식으로 확장해 만든 ‘통로’입니다. 정원에서 직접 집 안으로 들어올 수 있는 ‘출입’ 기능도 갖고 있습니다. 

엔가와와 거실을 구분해주는 것은 하얀 창호지가 발린 미닫이문인 ‘障子(しょうじ;장지)’입니다. 집 안도 아니고 바깥도 아닌, 애매한 공간으로 일본 문화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바닷마을 다이어리>의 자매들은 어쩐지 거실이나 방 안에 있는 모습보다, 이 엔가와에 앉아서 정원을 바라보며 시간을 보내는 모습이 더 많은 듯한데요. 유타카를 차려 입고 조촐하게 불꽃놀이를 하는 장면도 유명하죠. 하늘을 수놓는 불꽃놀이를 ‘하나비(花火)’라고 한다면, 자매들이 정원에서 즐기던 향 모양의 불꽃놀이는 ‘센코하나비(線香花火)’라고 합니다. ‘센코(線香)’는 ‘향’이라는 뜻으로 엔가와에 피워놓은 모기향, ‘카토리센코(蚊取り線香)’도 일본 사람들에게는 ‘여름’의 상징이죠. 

또 하나, 이 엔가와에서 즐기는 무기챠(麦茶; 보리차), 스이카(スイカ; 수박)도 그렇게 시원하고 맛있다고 하네요. 엔가와에서 보내는 여름의 낭만을 제대로 즐기고 싶다면, 또 다른 모리 준이치 감독의 영화 <리틀 포레스트: 여름과 가을(リトル・フォレスト 夏・秋)>(2014)도 추천드립니다. 여름에는 엔가와가 모든 음식을 더 맛있게 만드는 마법 같은 식사 공간으로 변신합니다.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다이도코로(台所)

>>추천 영화: 이누도 잇신(犬童一心)감독의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원제: ジョゼと虎と魚たち)>(2003)

<심야식당>, <고독한 미식가>가 한국에 알려지기 전, 일본의 부엌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하나 있었으니, 바로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의 부엌이었습니다. 

어느덧 20년 전의 영화가 되어가고 있는 이 영화는 당시 스물네 살의 츠마부키 사토시(‘츠네오’ 역), 스물 세 살의 이케와키 치즈루(‘조제(쿠미코)’ 역)라는 청춘 스타를 탄생시키며 ‘감성파’ 영화 팬들을 자극했던 영화입니다. 근사한 제목은 원작이 된 다나베 세이코(田辺聖子)의 단편소설에서 가져왔습니다. (다나베 세이코의 책은 한국에서 큰 인기를 모아 많이 번역되기도 했습니다.)

이 영화의 명장면은 바로 조제가 만들어주는 맛있는 가정식 요리입니다. 미소시루, 야키자카나(焼き魚;구운 생선), 다시마키다마고(だし巻き玉子; 계란말이)에 ‘스이항키(炊飯器; 전기밥솥)’에서 갓 푼 김이 모락모락나는 시로고항(白ご飯; 흰밥). 일본식 집밥의 전형을 보여주는 조제의 요리는 화면을 뚫고 들어가 한 그릇 먹고 싶어지는 소박하지만 강력한 요리였습니다. 

 

다이도코로(台所)와 키친(キッチン)

일본에도 ‘부엌’을 가리킬 때 ‘키친(キッチン)’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조제가 요리하는 공간은 왠지 ‘다이도코로(台所)’라고 불러줘야만 할 것 같습니다. 다이도코로는 헤이안시대에 식사 공간에 대해 붙인 명칭에서 유래했고, 키친은 그야말로 영어에서 비롯된 것이니, 두 단어는 의미는 같지만 정서가 조금 다르겠죠?

요시모토 바나나가 유명한 데뷔 소설 제목을 ‘다이도코로’가 아닌 ‘키친’이라고 한 것은 당시의 신종 직업인 푸드코디네이터를 꿈꾸는 여주인공의 직업, 트렌디한 분위기를 살리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독자의 질문에 작가 본인이 답한 적이 있습니다. 다이도코로의 ‘나가시다이(流し台; 싱크대)’에 서 있는 이의 뒷모습을 보는 것은, 왠지 모를 아련한 느낌이 듭니다. 

>> 2020년 12월 개봉하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애니메이션 영화의 공식 사이트 https://joseetora.jp/#index

영화 <인생 후르츠>, 이마(居間)

>>추천 영화: 후시하라 켄시(伏原 健之)감독의 <인생 후르츠(원제:人生フルーツ)>(2016)

일본의 명배우 키키 키린(樹木希林)이 내레이션을 맡은 것으로도 화제가 되었던 다큐멘터리 영화 <인생 후르츠>. 한국에서도 개봉 후 좋은 평을 받으며 조용히 관객들을 모았던 영화인데요. 일본의 90세 건축가와 87세 아내의 노년의 나날들과 40년 넘게 살고 있는 집과 정원이 아름답게 그려진 작품입니다. 

‘ときをためる暮らし(토키오타메루쿠라시)’, 즉 ‘시간을 들이는 찬찬한 삶’을 추구하는 건축가가 자신의 철학을 실험하기 위해 지은 집인 만큼, 공간과 풍경에 더욱 관심이 가는데요. 두 부부가 마주하고 식사를 하는, 영화 속 주요 공간이 바로 ‘이마(居間)’입니다.

이마(居間)와 챠노마(茶の間)

이마(居間)는 식사를 할 수 있는 테이블이 놓인, 식사 공간과 가족들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거실을 겸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생 후르츠>에도 잠깐 등장하는 주인공 부부의 집의 ‘마도리즈(間取り図、まどりず; 방의 배치, 종류, 크기 등을 평면도로 표시한 것)’를 보면 ‘이마(居間)’로 표시되어 있고, 테이블과 가구들이 등 흔히 말하는 ‘서양식’에 가깝습니다. 

같은 용도의 공간을 전통적인 일본 집에서는 ‘챠노마(茶の間; ちゃのま)’라고 불렀고, 다타미(畳)가 깔린 경우도 많았습니다. ‘차(茶)’라는 글자가 들어가 혹시 ‘다실’인가?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마’와 마찬가지로 가족들이 식사를 하고 시간을 보내는 거실에 해당하는 공간입니다. 티비가 보급된 이후에는 티비를 보는 공간이 되어 일본에서는 ‘시청자 여러분’이라는 뜻으로 ‘お茶の間の皆さん(오챠노마노미나상; 챠노마의 여러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네요. ‘챠부다이(ちゃぶ台)’라고 하는 낮은 원형 탁자에 옹기종기 둘러앉아 식사나 술을 즐기고, 겨울에는 고다츠를 놓고 귤을 까먹는 풍경. 그곳이 ‘이마’, ‘챠노마’입니다.

일본의 가족과 집안 풍경의 ‘원형’이라고 할 만한 풍경을 담아낸 오즈 야스지로(小津安二郎) 감독의 영화 <동경 이야기(東京物語)>(1953)에도 챠노마 풍경이 잘 담겨 있어 추천합니다. 이 영화는 영화 감독들에게 깊은 감명을 남겼습니다. 영국영화협회(BFI)가 1952년부터 10년에 한 번씩 잡지 <Sight&Sound>를 통해 발표하는 "영화 감독이 뽑은 베스트 영화", "비평가가 뽑은 베스트 영화"의 2012년 조사에서 오즈 야스지로의 <동경 이야기>가 각각 1위, 3위를 차지했습니다(*).

* 2012년 8월 2일 <시네마투데이> 기사 참고 https://www.cinematoday.jp/news/N0044641

영화 <일일시호일>, 도코노마(床の間) 

>>추천 영화: 오모리 타츠시(大森 立嗣)감독의 <일일시호일(원제: 日日是好日)>(2018)

다이도코로/키친. 챠노마/이마. 같은 공간을 부르는 명칭이 다른 것, 그 두 표현이 동시대에 같이 쓰이고 있는 것은 전통적 일본 주거(和室)와 서양식 주거(洋室)가 공존하는 일본 주거문화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 듯합니다. <인생 후르츠>의 부부들이 90세라고 해서 전통 일본 주거를 살고 있지 않은 것만 해도 알 수 있죠. 반대로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는 ‘고민가(古民家;일본어 발음은 ‘코민카’)’에 대한 애정이 다시 싹트고 있어 전통적인 주거를 더 ‘힙하게’ 느끼고 있는 요즘입니다. 

그런가하면 <인생 후르츠>의 내레이션을 맡은 키키 키린이 다도 명인을 연기해 일본 다도 입문 영화로 많이 소개되고 있는 영화 <일일시호일>의 공간은, 그야말로 전통적인 일본 집의 공간을 보여주는 영화입니다. 이 영화에서 제대로 볼 수 있는 일본 집의 독특한 공간이 있으니 바로 ‘도코노마(床の間)’입니다. 

도코노마(床の間)

도코노마(床の間、とこのま)는 일본의 전통적인 다다미 방에서 방바닥을 한 단 높여 벽에 족자(掛け軸; 카케지쿠)를 걸고 꽃꽂이 한 꽃(花活け・花生け; 하나이케. 꽃을 꽂은 용기는 ‘하나이레(花入れ)’)을 놓을 수 있도록 만든 공간입니다. 정식 명칭은 ‘도코(床、とこ)’입니다. 잘 모르고 들으면 죽은 가족의 영정 사진 등을 모셔놓는 ‘불단(仏壇)’과 헷갈릴 수도 있지만, 도코노마는 어디까지나 계절별로 꽃이나 그림을 장식해놓는 ‘장식공간’입니다. 영화 <일일시호일>에서 주인공이 스승님이 지켜보는 가운데 도코노마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 카케지쿠에 적힌 선적인 글(禅語), 달마도(達磨画) 을 찬찬히 들여다보는 모습이 여러 번 등장합니다. 면벽 수행으로 유명한 달마대사는 일본에서 ‘칠전팔기’를 뜻해 카케지쿠 그림으로도 널리 사랑받고 있습니다. 

영화 제목이 <日日是好日(니치니치고레코지츠; 매일매일이 좋은 날)>의 뜻이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매일매일이 좋은 날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뜻, ‘흘러가는 하루하루에 좋음과 나쁨으로 구분하려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뜻. 여러 분에게는 어떤 뜻으로 다가오시나요?

<관련 기사>

일본의 맛차와 다도 문화를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 맛차(말차)는 거품 있는 일본 녹차? - 일본 차와 다도(茶道), 와가시(화과자)에 대해 알아보자!

일본 건축하면 떠오르는 ‘안도 다다오’의 이색적인 건축물들을 둘러보고 싶다면? -> 홋카이도 라벤더 숲에 거대한 부처 두상이! 오키나와 돈키호테도 지었다고? 빛의 교회, 스미요시 주택까지, 안도 다다오와 일본 문화




 

라이터

WeXpats
생활・취업・유학에 관한 도움되는 정보부터, 일본의 딥한 매력을 소개하는 기사까지, 다채로운 기사를 전합니다.
Share button

SNS ソーシャルメディア

일본의 최신 정보를 9개 언어로 정기 업데이트합니다.

  • English
  • 한국어
  • Tiếng Việt
  • မြန်မာဘာသာစကား
  • Bahasa Indonesia
  • 中文 (繁體)
  • Español
  • Português
  • ภาษาไทย
TOP/ 일본 문화 알기/ 영화・드라마/ 엔가와에서 스이카를: 일본 영화 속에 담긴 일본 집 풍경

당사의 웹사이트는 편의성과 품질 유지 및 향상을 목적으로 Cooki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Cookie 사용에 동의하시는 경우 「동의」 버튼을 눌러주세요.
또한, 당사 Cookie 사용에 대한 상세 내용은 여기를 참조해주세요.

Cookie 사용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