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의 요점>
・교훈과 풍자를 담은 표현인 속담은 일본에도 있고 ‘고토와자(ことわざ)’라고 한다.
・같은 의미의 한국 속담이 바로 떠오르지 않는 일본 속담들에서는 일본의 고유한 발상을 읽을 수 있어 재미있다
・일본 속담 중에는 한국어와 비슷하거나 똑같은 것들도 있어 재미있다
일본에도 속담이 있다는데, 어떤 속담이 있을까? 한국과 비슷하거나 의미가 똑같은 속담도 있을까? 재미있는 일본 속담, 뜻이 예쁜 일본 속담 몇 개 정도는 알아두고 싶다. 일본어, 일본 문화에 관심이 있는 분들 중에는 ‘일본 속담’의 기본을 알아두고 싶은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모아본 일본 속담 28개. 해설을 읽어두면 언젠가 들었을 때 ‘아, 그거!’ 하고 기억이 나실 것입니다.
<내용 구성>
- 오르막길이 있으면 내리막길이 있다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 빈 수레가 요란하다
-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 쇠귀에 경 읽기
- 떡 줄 사람은 꿈도 안 꾸는데 김칫국부터 마신다
- 범 탄 장수 같다
- 엎친 데 덮친 격, 첩첩산중
- 개도 안 먹는다
- 두 마리 토끼를 쫓는 자는 한 마리도 못 얻는다
- 엎질러진 물
- 백문불여일견
- 비 오면 땅 굳어진다
일본 속담, ‘고토와자(ことわざ)’란?
‘속담’에 해당하는 표현은 ‘고토와자(ことわざ)’. 옛부터 전해져온 풍자와 교훈을 담은 짧은 말을 뜻합니다. ‘관용구(慣用句; 칸요쿠)’, 사자성어인 ‘四字熟語(요지쥬쿠고)’와 비슷하기도 해서 특별히 구별하지 않고 쓰이기도 합니다.
한국어와 똑같거나 비슷해서 바로 아하! 이해가 되는 일본 속담도 있고, 일본의 고유의 감성이 재미있는 일본 속담도 있습니다. 차근차근 살펴볼까요?
재미있는 일본 속담
추천 기사
猫に鰹節(네코니 가쓰오부시) / 고양이에게 가다랑어(를 준 셈)
해설: 가다랑어라면 사족을 못 쓰는 고양이 앞에 가다랑어를 놓아둔 것처럼 불안하고 위험한 상황
猿に木登り(사루니 키노보리) / 원숭이에게 나무 오르기(를 가르치는 것과 같다)
해설: 가르쳐주지 않아도 아는 상대에게 가르치는 것처럼 ‘의미 없는 일’, ‘소용없는 일’
참고: 원숭이가 나무에 쉽게 오른다는 것에서 ‘누워서 떡 먹기’, ‘식은 죽 먹기’라는 의미로 이해하기 쉽지만, 일본에서는 원숭이에게 나무 오르기를 가르쳐주는 것처럼 ‘소용 없는 일, 불필요한 일’이라는 의미인 것에 주의.
狐と狸の化かし合い(키츠네토 타누키노 바카시아이) / 여우와 너구리 서로 속이기
해설: 교활한 이들이 서로 속이는 것
참고: ‘化かす(바카스)’란, 사람의 마음을 어지럽혀 정상적인 판단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 일본의 옛이야기 속에서는 ‘여우’와 ‘너구리’가 사람을 속이는 이미지로 자주 등장함. 특히 너구리는 이야기 속에서 ‘변신술’을 능력으로 가지고 아름다운 여인으로 모습을 뒤바꾸거나, 돌을 돈으로, 똥을 음식으로 바꾸어 사람들을 속이는 장난과 술책의 상징. 이때 머리에 나뭇잎을 쓰고 있는 것으로 그려짐. 어느 옛 노래는 술을 좋아하는 너구리가 비오는 밤을 틈타 양조장에서 술을 훔쳤다고 노래했는데, 요즘은 골풀 삿갓(菅笠)을 쓴 너구리 조각 인형을 '복 너구리'로 여기며 문앞 등에 두고 있음. 너구리의 삿갓이 불행과 재난을 막아준다고 생각하는 것.
かわいい子には旅をさせよ(카와이이코니와 타비오 사세요) / 귀여운 아이에게는 여행을 시키자
해설: 아이가 귀여울수록 고생을 시켜라
참고: ‘여행’을 좋은 것으로 해석하는 현대에는 ‘오냐오냐하다’의 의미로 읽힐 수 있지만, 예전에는 ‘여행=고생’이었기 때문.
犬も歩けば棒に当たる(이누모 아루케바 보니 아타루) / 개도 걷다보면 봉에 맞는다
해설: 1) 뭔가를 하려고 하는 사람은 재난을 맞닥뜨리는 일도 많다 2) 재능이 없어도 몇 번 계속하다보면 좋은 결과를 얻기도 한다
참고: ‘봉(棒)’을 ‘재난’과 ‘행운’ 둘 중 무엇으로 해석하느냐에 따라 정반대의 의미를 가짐.
風が吹けば桶屋が儲かる(카제가 후케바 오케야가 모우카루) / 바람 불면 두레박집이 돈 번다
해설: 하나의 사건이 관계 없어 보이는 부분에도 영향을 미친다(=나비 효과) / 확실하지 않는 일을 기대하는 상황
참고: 에도 시대의 일화에서 유래. 바람이 불어 모래 먼지가 일면 모래가 눈에 들어가 실명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눈이 보이지 않아도 할 수 있는 샤미센 연주자가 늘어났음. 샤미센을 만들 때는 고양이 가죽을 사용해 고양이가 줄었고, 이로 인해 쥐의 수가 늘었고, 두레박(桶; 오케)을 갉아먹는 일도 많아졌다. 결과적으로 두레박을 새로 사는 이들이 많아져 두레박 집이 돈을 벌게 됐다.
仏の顔も三度まで(호토케노 카오모 산도마데) / 부처님 얼굴도 세 번까지
해설: 부처님처럼 인자한 사람도 무례한 상황이 반복되면 화를 낸다
참고: 한국 속담인 ‘부처님 가운데 토막’(지나칠 정도로 인자한 사람)과 비교해 기억하면 더 재미있음.
早起きは三文の徳(하야오키와 산몬노도쿠) / 일찍 일어나면 살짝 득 본다
참고: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아먹는다’는 한국 속담은 ‘일찍 일어나야 한다’는 강한 의미로 다가오는 반면, ‘산몬(三文)’은 100엔 정도로 그리 많지 않은 금액을 의미. ‘일찍 일어나도 조금밖에는 득 보는 게 없다’라고 해석했다는 설도 있음.
한국어와 뜻이 똑같거나 비슷한 일본 속담
山あり谷あり(야마아리 타니아리) / 산도 있고 골짜기도 있고
해설: 살다보면 좋을 때도 나쁠 때도 있다
비슷한 한국 속담: 오르막길이 있으면 내리막길이 있다
予防は治療に勝る(요보와 치료니 마사루) / 예방은 치료를 이긴다
해설: 병이 나서 치료를 하는 것보다, 병에 걸리지 않게 예방하는 것이 좋다
비슷한 한국 속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失敗は成功のもと(싯파이와 세코노 모토) / 실패는 성공의 바탕
해설: 실패해도, 그 원인을 반성하고 고쳐나간다면 성공에 이어진다
비슷한 한국 속담: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飼い犬に手を噛まれる(카이이누니 테오 카마레루) / 키우는 개한테 손 물리다
해설:평소 믿고 의지하던 사람에게 배신을 당하다
비슷한 한국 속담: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吠える犬は噛み付かぬ(호에루 이누와 카미츠카누) / (시끄럽게) 짖는 개가 (오히려) 못 문다
해설: 물지 못하는 개일수록 시끄럽게 짖는다. 즉, 시끄럽고 말이 많은 사람일수록 무능하고 실력이 없다
참고: ‘~ぬ(누)’는 ‘~ない’의 자리에 넣어 똑같은 ‘부정’의 의미를 나타냄.
비슷한 한국 속담: 빈 수레가 요란하다
窮鼠猫を噛む(큐소 네코오 카무) / 궁지에 몰린 쥐 고양이 문다
해설: 궁지에 몰리면 약한 것도 강한 것에 반기를 든다
참고: ‘쥐’를 뜻하는 ‘鼠(네즈미・소)’에 ‘궁지’라는 뜻의 ‘窮(큐)’를 붙여 ‘궁지(에 몰린)쥐’를 표현.
비슷한 한국 속담: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牛に対して琴を弾ず(우시니 타이시테 코토오 단즈) / 소 앞에서 거문고 뜯는다
해설: 어떤 설명을 해도 어리석은 사람은 좀처럼 이해하지 못한다
비슷한 한국 속담: 쇠귀에 경 읽기
捕らぬ狸の皮算用(토라누 타누키노 카와잔요) / 잡지 않은 너구리 가죽 계산
해설: 아직 손에 넣거나 실현하지 못한 것에 대해 이것저것 계획을 세운다
참고: ‘算用(산요)’는 ‘계산’이라는 뜻.
비슷한 한국 속담: 떡 줄 사람은 꿈도 안 꾸는데 김칫국부터 마신다
虎につばさ(토라니 츠바사) / 호랑이에 날개(날개 달린 호랑이)
해설: 강하고 실력 있는 자가 더욱 강해진 상황
참고: ‘つばさ’는 ‘날개’로 한자로는 ‘翼’.
비슷한 한국 속담: 범 탄 장수 같다
虎口を逃れて竜穴に入る(코코오 노가레테 류케츠니 이루) / 호랑이굴에서 도망쳐 용구멍에 들어가다
해설: 계속해서 재난이 이어지다
참고: ‘泣き面に蜂(나키츠라니 하치)’, 즉 ‘우는 얼굴에 벌 (쏘인다)’라는 일본 속담도 같은 상황에서 쓸 수 있음.
비슷한 한국 속담: 엎친 데 덮친 격, 첩첩산중
犬も食わない(이누모 쿠와나이) / 개도 안 먹는다(개도 안 먹는 것이 있다)
해설: 뭐든 잘 먹는 개도 먹지 않는 음식처럼 누구도 좋아하지 않는 일, 상황
참고: ‘먹다’에 해당하는 표현은 ‘食べる(타베루)’ 외에도 ‘食う(쿠우)’가 있음. 단, 사람이 먹을 때는 ‘食べる’를 표준적으로 사용함. 비즈니스 상황에서는 겸양어, 공손한 표현인에 해당하는 꼭 ‘食べる’를 사용해야 함.
二兎追うものは一兎をも得ず(니토오 오우모노와 잇토오모에즈) / 두 마리 토끼를 쫓는 자는 한 마리도 못 얻는다
해설: 욕심을 부려 두 가지 일을 하면 둘 다 성공하지 못한다
참고: 한국 속담의 ‘토끼 둘 잡으려다 하나도 못 잡는다’와 같은 뜻. 정반대의 의미인 ‘일석이조’는 일본어로 똑같이 ‘一石二鳥(잇세키니쵸)’
覆水盆に返らず(후쿠스이 봉니 카에라즈) / 엎질러진 물 동이에 되담지 못한다
참고: ‘엎질러진 물’과 똑같은 일본 속담
百聞は一見にしかず(햐쿠분와 잇켄니 시카즈) /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게 낫다
참고: ‘백문불여일견’과 똑같은 일본 속담
雨降って地固まる(아메훗테 지카타마루) / 비 오면 땅 굳어진다
해설: 문제나 나쁜 상황이 일어나면 오히려 안정된 기반이 마련되어 더 좋은 방향으로 일이 진행된다
참고: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와 같은 일본 속담. 일본에서는 인간관계의 문제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싸우거나 분쟁을 한 뒤에는 서로를 더 잘 알게 되어 이전보다 더 좋은 관계를 쌓을 수 있다)
마음에 새길 만한 일본 속담
一期一会(이치고이치에) / 한 번의 기회, 한 번의 만남
해설: 일생에 단 한 번 있는 기회, 일생 단 한 번 있는 만남을 대하듯 그 순간을 소중히 여기고 감사하며 정성을 다해라 다도(茶道)에서 유래한 말로, 주인, 손님이 ‘한 번의 기회’라는 마음으로 차를 나누라는 뜻으로 사용.
継続は力なり(케조쿠와 치카라 나리) / 계속하는 것이 힘이다
해설: 노력에 대한 결과나 보상이 당장은 보이지 않더라도 계속해 나간다면 성공, 목표 달성을 이룰 수 있다
石の上にも三年(이시노우에니모 산넨) / 돌 위라도 3년(이면)
해설: 차가온 돌 위라도 장시간 앉아 있으면 체온이 가 닿아 돌이 따뜻해진다. 괴로운 일이 있어도 3년간 계속하면 보답받는다
참고: 일본에서는 ‘일은 힘들어도 3년은 계속해야 한다’는 표현이 있는데, 이때의 ‘3년’은 실제 년수지만 ‘돌 위라도 3년’의 ‘3년’은 구체적인 년수라기보다는 ‘장시간’이라고 해석함.
習うより慣れよ(나라우요리 나레요) / 배우기보다 익숙해져라
해설: 뭐든 누군가에게 배우는 것보다 실제로 경험하는 편이 더 빨리 익힐 수 있다
会えない時間が愛を育てる(아에나이지캉가 아이오 소다테루) / 만나지 못하는 시간이 사랑을 키운다
해설: 만나지 못하는 사이에 서로를 생각하는 마음과 사랑이 깊어진다
참고: 일본의 연애관이 궁금하다면 <[알면 더 재밌는 일본 문화] 한일 커플 주목! 일본에서 인기 있는 연애 영화, 드라마는? 일본의 시대별 연애관도 소개~> 기사도 참고해보세요.
마무리
일본 속담인 ‘고토와자’는 한국 속담과 완전히 똑같기도 거의 비슷하기도 하고, 때로는 한국인의 생각으로는 신선한 발상으로 재미를 주기도 합니다. 속담은 기본적으로 풍자와 교혼을 담고 있고, 그 말이 만들어진 시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쓰이는 말에 담긴 지혜와 교훈을 일본어로도 익혀볼 수 있으니 앞으로도 일본 속담에 관심을 가져보세요.
속담이 그렇듯 유래를 알고 나면 더 일본어 공부가 더 깊고 재미있어집니다. 자주 쓰는 일본어 단어의 재미있는 유래들을 소개한 <일본어 단어와 표현, 뜻만 외우니? 난 ‘마지’, ‘야바이’로 일본 문화, 역사도 공부해~>, <일본어 단어, 일본어 표현, 재미있는 유래와 함께 공부하자!> 기사로 공부해보세요.